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회사원 김대리의 연말정산 온라인 제출 도전기

by taxin 2025. 10. 10.

올해 입사 5년차인 김대리는 매년 연말정산 시즌만 되면 골치가 아팠습니다. 서류 챙기고, 출력하고, 직접 인사팀에 제출하러 가는 게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거든요. 그런데 올해는 인사팀 박과장님이 "이제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다"며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를 알려줬습니다.

1. 온라인 연말정산 제출 가능

김대리가 알아본 바로는, 이제 근로자들이 소득·세액공제신고서와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고른 공제자료를 홈택스를 통해 회사에 온라인으로 쭉 제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더 좋은 건 회사나 회사가 일을 맡긴 세무사도 이렇게 받은 자료로 간편하게 연말정산을 처리하고 지급명세서까지 제출할 수 있다는 거였죠.

2. 1단계 - 회사 사전작업

김대리가 홈택스에 접속해서 바로 자료를 제출하려고 했는데, 아직 회사가 안 보이더군요. 알고 보니 근로자가 자료를 간편하게 제출하려면 회사가 먼저 '편리한 연말정산' 서비스에 연말정산 기초자료를 등록해야 한다고 합니다. 기초자료라는 건 김대리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같은 기본 정보들이었어요.

김대리는 바로 인사팀 박과장님께 전화를 드렸고, 박과장님이 "아, 깜빡했네! 바로 등록할게"라며 기초자료를 시스템에 올려주셨습니다. 만약 회사가 연말정산 업무를 외부 세무사에게 맡겼다면, 그 세무대리인만 이 기초자료를 등록할 수 있다고 하네요.

3. 2단계 - 제출처 선택하고 동의하기

다음 날 김대리가 다시 홈택스에 접속하니 이번엔 회사가 제대로 보였습니다. 김대리는 자신이 다니는 회사를 선택하고, 자료제공 동의 절차를 진행했어요.

이 동의라는 게 뭐냐면, 자신이 작성한 소득·세액공제신고서(여기엔 부속명세서,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 등이 포함됩니다)를 회사나 회사가 위임한 세무대리인에게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에 동의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김대리는 "이 정도야 당연하지" 하며 흔쾌히 동의 버튼을 눌렀습니다.

4. 3단계 - 드디어 온라인 제출!

이제 본격적인 제출 단계입니다. 김대리는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어요.

첫 번째는 소득·세액공제신고서를 직접 전산으로 작성하는 방법, 두 번째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자료를 선택하는 방법이었습니다. 김대리는 간소화 서비스가 더 편할 것 같아서 필요한 공제 자료들을 쭉 선택한 후, 회사를 지정해서 제출 버튼을 눌렀습니다.

"와, 정말 간단하네!" 김대리는 감탄했습니다. 예전처럼 프린트할 필요도, 인사팀에 직접 갈 필요도 없었거든요.

5. 4단계 - 회사의 최종 작업

김대리가 자료를 제출한 후, 이제 공은 회사 쪽으로 넘어갔습니다. 인사팀 박과장님은 처음에 등록했던 김대리의 기초자료(소득명세 상세 정보)와 김대리가 간편제출로 보낸 공제신고서, 그리고 공제증명 자료들을 활용해서 지급명세서를 자동으로 생성했습니다. 그리고 그걸 '지급명세서 작성하기'로 전송해서 최종 처리를 마쳤죠.

물론 박과장님 말로는 "우리 회사처럼 자체 회계시스템이 있어서 자체적으로 연말정산을 할 수 있는 회사라면 굳이 이 기능을 안 써도 된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중소기업이나 이런 시스템이 없는 회사들에게는 정말 유용한 기능이라고 했습니다.


요약표

 
             연말정산 온라인 간편제출 절차          

   단계               주요 내용                 

  1단계   회사가 근로자 기초자료 등록             
  (필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 세무대리인에게 위임한 경우           
             세무대리인만 등록 가능               
 
  2단계   근로자가 제출처(회사) 확인 및 선택     
          자료제공 동의 진행                      

  3단계   근로자가 소득·세액공제신고서 작성     
          또는 간소화 자료 선택 후                
          회사에 온라인 제출                      

  4단계   회사가 기초자료+제출받은 공제자료로     
          지급명세서 생성 및 제출                 
          ※ 자체 회계시스템 보유 시 선택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