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말정산 공통 항목(필수 공제)

근로소득공제 완전 정복기

by taxin 2025. 9. 28.

1. 김대리의 고민

회사 경리팀에서 일하는 김대리는 올해 연말정산 시즌이 되자 후배들로부터 질문 폭탄을 맞았습니다. "선배, 제 연봉이 3,500만원인데 근로소득공제가 얼마나 되는 거죠?" "저는 7,000만원인데요?"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김대리도 정확한 계산법을 설명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2. 근로소득공제의 기본 이해

김대리가 후배들에게 설명한 근로소득공제는 총급여액에서 자동으로 차감되는 공제항목입니다.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며, 최대 2,0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급여 수준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3. 실제 계산 사례들

3-1. 신입사원 박군의 사례 (연봉 2,800만원)

박군의 경우를 계산해보니 이렇습니다:

  • 500만원 이하 구간: 500만원 × 70% = 350만원
  • 500만원 초과분: (2,800만원 - 500만원) × 40% = 920만원
  • 총 근로소득공제: 350만원 + 920만원 = 1,270만원

3-2. 김대리의 사례 (연봉 3,500만원)

김대리 본인의 계산:

  • 첫 번째 구간(500만원까지): 350만원
  • 두 번째 구간(500~1,500만원): 1,000만원 × 40% = 400만원
  • 세 번째 구간(1,500~3,500만원): 2,000만원 × 15% = 300만원
  • 총 근로소득공제: 350만원 + 400만원 + 300만원 = 1,050만원

3-3. 과장님의 사례 (연봉 8,000만원)

과장님의 경우:

  • 4,500만원까지의 공제액: 1,200만원 (누적)
  • 4,500만원 초과분: (8,000만원 - 4,500만원) × 5% = 175만원
  • 총 근로소득공제: 1,200만원 + 175만원 = 1,375만원

4. 고소득자 이사님의 특별한 경우

연봉 1억 5천만원인 이사님의 경우를 살펴보면:

  • 1억원까지의 공제액: 1,475만원 (누적)
  • 1억원 초과분: (1억 5천만원 - 1억원) × 2% = 100만원
  • 계산상 공제액: 1,575만원
  • 실제 적용 공제액: 1,575만원 (한도 2,000만원 미만이므로 전액 적용)

5. 김대리의 정리

김대리는 후배들에게 "급여가 높을수록 공제율은 낮아지지만, 절대 공제액은 커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아무리 고소득자라도 2,000만원이 한도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근로소득공제 요약표

총급여액 구간 공제 계산 방법 누적 최대 공제액
500만원 이하 총급여액의 70% 350만원
500만원 초과 ~ 1,500만원 이하 350만원 + 초과분의 40% 750만원
1,500만원 초과 ~ 4,500만원 이하 750만원 + 초과분의 15% 1,200만원
4,500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1,200만원 + 초과분의 5% 1,475만원
1억원 초과 1,475만원 + 초과분의 2% 최대 2,000만원

※ 모든 근로소득공제는 최대 2,000만원 한도 적용